반응형

집에 들어가자마자 동생이 침대 위로 집어 던진 것은, 다름아닌 '은,희,경,소,설,책'이 아닌가. 다른 것도 아닌 내 '책'을, 다른 작가의 것도 아닌 '은희경'의 소설을! 감히 집어 던지다니, 이것은 나에 대한 도전임에 분명했다. 서른이 넘은 나이지만 즉각 전투태세를 취하고 두 살 터울의 남동생을 무섭게 노려봤다. 나는 누가 내 서랍을 헤집어 놓아도, 소파 위에 물건들이 어질러져 있어도 별로 게의치 않지만 유독 책에는 유난을 떠는 습관이 있다.

책을 사서 읽을 때에도 책장을 조심조심 넘기고 혹시나 책장이 접히거나 표지가 더러워지는 꼴은 차마 볼 수 없다. 그래서 왠만한 친구들에게는 책을 잘 빌려주지도 않지만, 어쩌다 빌려 준 책에 허락없는 밑줄이 그어져서 돌아올 때면 난 즉시로 야수로 돌변하여 친구를 몰아세우게 된다. 그런데 내 동생은 내가 보는 앞에서 내 책을 패대기를 쳤다. 게다가 '은희경' 소설을!

지금도 물론 무지하지만 문학의 'ㅁ'도 모르던 대학 시절 처음으로 내 마음을 움직인 작가가 바로 은희경이다. 특히나 우울할 때 그녀의 책을 읽으면 '세상 그 까짓 것' 왠지 모를 씩씩함이 생기곤 했다. 첫 정이 무섭다고 그래서 그런지 그 이후로도 많은 책들을 읽어 왔지만 은희경의 책에는 특별한 울림이 느껴져서 좋다.



'아니, 심심해서 읽었는데 괜히 정신만 사나워지고, 끝까지 무슨 말을 하는 지 모르겠더라고. 책 읽느라 시간 버려, 생각하느라 머리 아파, 심술이 안 나게 생겼어? 이 여자 정신이 좀 이상한 거 아니야?' 동생의 말에 헛웃음이 나왔지만 듣고 나서 별 말을 하지 않았다. 아니, 하지 않을 수밖에 없었다. 공대 출신인 내 동생이 집에 사 들인 책 목록을 보면, 아침형 인간 등의 자기 계발책, 1년 동안 10억 벌기 등의 경제 관련책, 설득의 심리학 등의 처세술책 등이 대부분이다. 하다 못해 '어린 왕자'를 읽고 나서도 '그래서?'라고 묻던 동생이 아닌가.

그러나 내가 동생에게 별 다른 말을 하지 않은 가장 큰 까닭은 그것이 어쩌면 당연하기 때문이다. 학창 시절 숙제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로 읽은 문학을 제외하곤 단편 소설하나 스스로 읽지 않았는데 어떻게 제대로 읽을 수가 있다는 말인가. 문득 예전에 겪었던 일이 생각났다. 고등학교 때 수능 시험을 끝내고 시간을 그저 소모하고 있을 때, 같은 교회에 다니던 대학생 오빠에게서 책을 한 권 선물 받았다. 그 유명한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 그러나 당시의 내 지적 수준은 너무나도 낮았기 때문에 그 책의 가치를 알아 보지 못했다.(솔직히 고백하건대 지금까지도 그 책이 왜 그토록 좋은 책이라고 추앙받는지 이유를 잘 모르겠다.) 내 무지한 눈으로 읽는 상실의 시대는 그저 '야한 책'에 불과했고 내 동생이 그랬듯 끝까지 다 읽고 나서도 작가의 의도를 전혀 알아차릴 수 없었다. 그러자 나는 나에게 그 책을 선물한 그 오빠의 인격을 의심하기 시작했고 결국 나에게 억울하게 '변태'로 낙인찍힌 그 오빠를 멀리하게 되었다.



대학에 들어와서 그 일을 잊어버리게 됐을 때, 내가 은근히 동경하던 여자 선배에게서 상실의 시대에 관한 서평을 들을 수가 있었다. 단순히 야한 책인 줄로만 알았던 그 책이 사실은 너무나도 유명한 책이었다는 것을 그 때야 알게 되었다. 이미 책을 버린 지 오래라 나는 다시 도서관에서 그 책을 읽어 봤다. '좋은 책'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읽어서 그랬는지 처음에 들었던 거부감은 없어졌지만 두 번째 읽었을 때에도 큰 감동은 느끼지 못했다. 나는 그게 나의 문학 지수라고 생각한다.

밥 한 그릇 먹기도 어려운 세상에서 문학은 뭔 놈의 문학이냐고, 배 부른 소리 좀 그만 하라고 나를 질타하실지도 모른다. 그 시간에 자기 계발책을 한 권 더 읽어서 유능한 인재가 돼야지 말 장난에 불과한 소설 나부랭이를 읽을 시간이 없다고 하실지도 모른다. 그러나 나는 어려울 수록 잊으면 안 되는 것이 기본이고 배 고플 수록 채워야 하는 것이 감성이라고 생각한다. 좋은 글 한 줄을 읽고도 아무런 감흥이 없다면 세상 살이가 얼마나 삭막할 것인가. 바쁜 중에도 짬을 내어 시 한 수 읽는 여유가 우리 모두에게 있었으면 좋겠다.

반응형
반응형
지난 달 교회의 조별 소모임에서 2009년 계획을 발표하는 자리가 있었다. 돌아가면서 한 명씩 자신이 바라는 바를 말했는데 영 쑥스럽고 민망한 상황이었지만, 나는 솔직하게 내 바람을 얘기했다. 작년 말 벼르고 벼르던 은희경의 소설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를 그제서야 읽고서 너무나도 큰 설렘을 다시금 경험했기에, 나는 2009년부터는 더욱 많은 소설책을 읽으리라 결심했던 것이다. 콕 집어서 소설책이라고 말하는 나를 모두들 의아한 눈초리로 바라보는 이유를 처음에는 몰랐었다.

대학에 다닐 때는 싫든 좋든 꼭 읽어야 하는 것이 시, 소설, 희곡, 수필 등의 문학이었다.(국어국문학을 전공했다.) 나는 그 중에서 특히 현대소설을 좋아했고 그 중에서도 여류작가의 소설을 즐겨 읽었다. 은희경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작가 중 한 명인데, 세상을 다소 냉소적으로 보는 듯한 그녀의 책을 읽으면 왠지 더 씩씩해지는 느낌이 들어서 참 좋았다. 나는 크고 작은 마음의 상처를 입을 때마다 은희경의 책을 읽고 또 읽었고 그러고나면 어쩐지 내가 처한 상황이 아무렇지 않게 느껴지기도 했다. 학교를 졸업하고 나서는 좋아하는 작가들도 더 늘어났고 따뜻한 감성을 자극하는 소설도 읽기가 좋았다. 이를테면 정이현 작가의 달콤한 나의 도시 같은 소설 말이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소설책을 읽는 횟수가 점점 줄어들더니 전혀 관심이 없었던 경제 관련 책이나 자기계발류 같은 실용서들만 잔뜩 읽게 되었다. 소설의 ㅅ도 모르는 사람으로 전락하게 된 것이다. 그러다가 2007년에 출판된 은희경의 소설집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를 작년 말에야 읽고나서 다시 문학 소녀(?)로 돌아가고 싶다는 꿈을 가지게 된 것이다.

나를 보는 사람들의 의아한 눈초리에 잠시 당황했지만 부연 설명이 필요한 것 같아서 이러한 상황을 짧게나마 얘기를 했다. 그런데 조원 중 한 명이 대뜸 하는 말이, 그 얘기를 처음에 들었을 때는 왜 하필이면 그 많은 책 중에서 소설책을 읽겠다고 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았단다. 나는 아직도 설명이 부족한 것 같아서 실용서들은 그래도 조금씩 읽는 편인데 소설과 같은 문학책은 오랫동안 전혀 읽지 않아서 그런 나의 책읽기 습관에 대한 반성이라고 했다. 그랬더니 처음부터 문학책이라고 했으면 이해하기 쉬웠을텐데 한다. 아, 사람들이 소설이라는 갈래에 갖는 인식이 이렇게도 낮구나 싶었다.

그도 그럴것이 요즘같은 세상에 태평(?)하게 소설책을 읽고 있을 사람이 몇 명이나 되겠는가. 그 시간에 10억 만들기 류의 경제서나 처세술에 관한 책을 한 줄 더 읽는 것이 훨씬 더 유익하다고 생각하기 쉽다. 게다가, '문학을 좋아하는 사람'과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이 다르게 느껴질 수도 있는 것이었다. 문학을 좋아하는 고상한 사람과 소설을 좋아하는 시시껄렁한 사람이 사실은 같은 종류의 사람이라는 것을 더이상 말하지는 않았다. 나는 전공자이기 때문에 다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이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중요하지 않은 분야이기 때문이다. 그들을 배려하지 못한 생각이었다.


아무튼 그 계획을 스스로 지키고자 당장 소설책을 사려고 했지만 너무 오랫동안 책을 읽지 않은 탓에 어떤 책을 읽어야 할 지 쉽게 결정할 수 없었다. 그래서 신뢰할 수 있는 문학상 수상집을 두어 권 사서 읽기로 했다. 드디어 설레는 맘으로 책장을 넘겼는데, 대상을 받았다는 그 훌륭한 소설이 너, 무, 나 재미가 없었다. 도무지 무슨 얘기를 하는지도 모르겠고 어떤 생각으로 그 글을 썼는지도 이해할 수 없었다. 심사평을 읽어보면 한결같이 좋은 소설이라는데 내게는 지루하고 따분한 소설에 불과했다. 그러나 공신력 있는 문학상을 받은 글이니 소설 자체의 문제라는 생각보다는 내 문학적 감수성이 빈곤해졌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자꾸 들었다.

이제 겨우 첫번째 책을 읽었으니 다시 차곡차곡 소설을 읽어서 정신과 이상을 풍요롭게 만들고 싶다.
반응형

+ Recent posts